1960년대부터 개발 시작된 인공심장
인공심장은 1960년대에 미국 정부의 후원을 받아 우주 및 군사 프로그램과 유사한 방식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1982년 바니 클락이라는 남성이 전체 인공심장(total artificial heart)인 자빅-7(Jarvik-7)을 이식받았다. 개발자인 로버트 자빅의 이름을 딴 제품이었다.
의사들은 그의 고장난 심장을 제거하고 플라스틱과 금속 장치로 된 자빅-7로 교체해 폐와 신체에 혈액을 순환시켰다. 그는 여러 장기에 문제가 발생해 숨지기 전까지 112일 동안 생존했으나 병원 밖을 나서진 못했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의료 기기 회사들은 전체 인공심장에 대한 대안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심실 보조장치'로 불린 이 부분 인공심장(partial artificial heart)은 두 개의 심실 중 하나를 보완하거나 교체해 생물학적 심장을 도왔다. 부분 임공심장은 전체 인공심장보다 더 간단하고 다재다능하며, 초기 심부전 단계에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었다.
모든 인공심장이 맥박을 생성하는 것은 아니다. 맥박이 있는 인공심장은 생물학적 심장을 모방한 것이다. 심장이 뛰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혈액을 채우고 짜서 혈액을 파동이나 맥박으로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혈액을 공급한다.
하지만 일부 인공심장은 맥동하는 대신 혈액을 지속적으로 몸 주변부로 밀어낸다. 이러한 '연속 흐름 장치(continuous-flow devices)'를 사용하면 환자나 의료진 모두 맥박을 감지할 수 없다.
2014년~2024년까지 미국에서는 약 3만 명의 환자가 연속 흐름 심실 보조 장치(부분 인공심장)를 이식했다. 같은 기간 동안 총 310개 이상의 전체 인공심장이 이식됐다.
오늘날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전체 인공심장은 영구 이식이 아닌 '가교 요법(bridging therapies․심장 기증을 받을 때까지 생명 유지를 위한 임시 처방)'에 한해 허용된다..
호주 남성에게 이식된 티타늄 인공심장은?
호주 남성이 이식을 받은 인공심장은 미국과 호주 합작기업인 바이바코르(BiVACOR)가 제작한 티타늄 재질의 인공심장이다. 전체 심장을 대체하도록 설계된 최초의 연속흐름장치라는 점에서 혁신적 제품이다. 개발자들은 '목적지 치료(destiny therapies)'로 알려진 영구 이식에 적합한 최초의 완전 인공심장을 목표로 삼고 있다.
![호주에서 인공심장 이식을 받은 40대 남성 환자가 100일 넘게 생활하다 지난 주 성공적으로 기증자의 심장 이식을 받았다. [사진='BiVACOR']](https://imgnews.pstatic.net/image/296/2025/03/17/0000087713_002_20250317220415079.jpg?type=w860)
심장전문의들이 '성배'라 부르는 영구이식이 가능한 완전 인공심장은 신뢰할 수 있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빠른 반응성을 지녀야 한다. 지금까지 바이바코르의 임상적 성공은 심각한 심부전에 대응하기에 부족한 기증자 심장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으리라는 낙관적 전망을 낳고 있다.
인공심장 이식으로 바뀌는 삶, 어떤 변화가?
인공심장을 이식하고 퇴원하는 것은 단순히 예전 생활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다. 펌프 장치는 가슴 내부에 있지만 그를 관리하고 지속 관찰하기 위해 필요한 외부 구성 요소도 있다. 두꺼운 튜브가 복부를 관통해 환자가 가방에 넣고 다니는 통제 장치 및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된다. 통제장치는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배터리는 정기적 충전이 필요하다. 완벽하게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인공심장이라도 최소한 세 가지 주요 영역에서 환자들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다.
1.그것은 나의 일부인가? 나는 그것을 신뢰하는가?
환자는 장치가 자신의 일부처럼 느껴지도록 장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감각적 피드백을 신뢰하고, 용인하고, 받아야 한다. 이는 장치가 운동과 신체의 필요에 반응한다고 느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인공심장은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맥박을 생성하지 않는 인공심장의 경우 더욱 그렇다. 환자는 심장이 자신의 몸에 있는지 아니면 컨트롤러 장치에 있는지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맥박을 느낄 수 없다면 심장이 없는 것 아니냐는 불신감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2. 경고음과 알람
인공심장은 또한 환자들이 삶을 살고 세상을 탐색하는 방식을 변화시킨다. 시끄러운 장치 경고음 이 울리면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점검을 받아야 하기에 환자의 정상적 활동에 걸림돌이 된다. 또 환자가 밤에 일어나 화장실에 가야 할 때 주 전원을 배터리로 전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3. 시간 감각의 차이
우리의 심장은 시간을 표시하는 자연스러운 메트로놈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누군가의 심장 리듬을 제거하면 시간 감각이 혼란스러울 수 있다.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재충전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해 환자의 하루가 달라질 수도 있다. 기증 심장 이식을 기다리거나 최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기다리다 보면 몇 달, 몇 년이 어떤 느낌인지에 대한 환자의 관점이 바뀔 수 있다.
인공심장은 큰 가능성을 지닌 놀라운 장치다. 그러나 환자와 가족은 이러한 특별한 치료가 자신과 세상에 대한 생각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인공심장은 사람의 목숨을 구할 뿐 아니라 그들의 삶도 변화시키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