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심화과정 소방재난대응학과 DONGEUI INSTITUTE OF TECHNOLOGY
김가영 2025-01-20 15:31 97
건설기술인 평균 연령이 급속도로 고령화되면서 현재 평균 51세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건설기술인 중 20~30대 젊은층 비중은 15.7%에 불과하다.
12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건설산업의 청년 인재 확보 전략’에 따르면 2004년 평균 38.1세였던 건설기술인 나이는 올해 6월 기준 51.2세로 20년새 13년이 늘어났다.
우리나라 전체 근로자 평균 연령도 2010년 39.0세에서 지난해 43.8세로 4.8세 증가했지만, 건설인력의 고령화는 이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것이다.
특히 20∼30대 연령 비중이 크게 감소했다. 2004년 전체 건설기술인 중 20∼30대 비중은 64.0%였으나 현재는 15.7% 수준이다.
10명 중 8명 이상이 중장년층이며 건설산업의 주력 세대는 50∼60대 장년층으로 이동했다는 의미다.
이러한 고령화 현상은 건설업 분야에서 기존 관행의 변화를 어렵게 하고 있으며 청년세대의 유입 여건을 더 악화시켜 청년 부족을 심화하는 악순환 고리를 만들 수 있다고 건산연은 지적했다.
또 이처럼 청년 부족이 심화하는 원인은 나라 전체의 고령화에도 원인이 있지만 건설업에 대한 고정 관념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예컨대 청년세대는 개인의 취향이나 의사를 중시하고, 수평적 의사소통에 익숙하며 비대면 의사소통을 선호하는 특성이 있는데 건설업 문화는 개인보다 조직을 중시하고, 팀워크를 강조하며 수직적 의사소통에 익숙한 경향이 있어 청년세대의 유입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건설업은 막노동’이라는 인식도 젊은세대들에게 크게 작용하고 있다.
또 데이터와 소프트웨어 기술 기반의 업무 처리를 중시하는 청년세대와 달리 건설업무방식은 실무경험과 숙련을 중시하고, 아날로그 방식의 업무 처리가 주를 이루는 측면이 있다.
건산연은 “건설산업이 수평적 관계와 창의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시대에 적응해야 한다. 기존의 수직적 구조와 권위적 문화가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문화로 변화한다면 청년 인재 유입이 촉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출처: https://naver.me/5chz0cJ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