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제기만 십 년째… 의료진, 탁상공론에 지쳐
응급의료의 어려움이 이미 오래전부터 제기됐는데도 불구하고, 개선된 점이 없다는 것도 응급의료 현장 이탈 문제를 부추긴 점으로 꼽혔다. 이형민 회장은 "십여 년 전부터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는 존재했다"며 "응급의료에 종사하는 의료진의 처벌 위험을 줄여주는 등의 정책은 눈에 띄는 성과를 보기 어려우니까 정책결정에서 소외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마음 놓고 치료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으면 의사 수가 많아져도 소용없다"고 말했다. 개선 방법으로는 전문가 포함 장기 프로젝트로 해결책을 찾는 것과 확실한 보상 제공을 들었다. 이 회장은 "복지부 사무관이 2년만 하고 떠나니, 중요한 정책이 진행되다가도 연속성이 떨어지곤 해 프로젝트별로 담당자가 있으면 좋겠다"며 "보상은 진료과 기준이 아닌 중증 등급 기준의 상병 기준으로 수가 향상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이성우 정책이사는 "응급의료기관의 현실적 자원이 유한함을 인식하고 치료에 대한 보상이 적절하게 배분되고 지원돼야 일선 현장에서도 힘을 낼 수 있다"며 "응급의료를 뒷받침하고 최종 치료하는 진료과를 비롯한 인프라에 대한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정부에서는 현장의 어려움에 공감하면서도 현재 진행하고 있는 개선책에 대해 발표했다. 정혜은 응급의료과장은 "응급의료 체계에 대한 개선이 세 가지로 좀 나눠서 추진되고 있다"며 "먼저 이송 지침을 만들고 광역 의료 상황실을 개소해 이송 체계를 개선했고, 두 번째로 권역센터와 지역센터 사이 전달 체계를 개선하고 있고, 마지막으로 응급실 과밀화 해소를 위해 국민의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한편, 이 의원이 주최한 이날 토론회에는 개혁신당 허은아 대표, 천하람 원내대표, 이준석 의원 등 개혁신당 원내외 지도부가 모두 참석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7/09/202407090177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