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해양도시’란 정체성이 명확한 곳은 부산이 유일합니다. 그만큼 치안 수요도 다양하기에 해경 임무가 막중합니다.”
지난해 12월 부산해양경찰서로 온 김형민 서장은 국내에서 가장 역동적인 바다가 부산 바다라고 말했다.
북항에는 화물선이 드나들지만 광안리해수욕장에는 관광객이 탄 요트가 움직인다. 다대포항 인근은 낚싯배가 주로 다닌다.
다양한 사람은 여러 유형의 해양 사고를 낳기에 일률적인 사고 대응 방식은 효율이 떨어진다.
그래서 화물선, 낚싯배, 요트 사고를 똑같이 대처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김 서 장이 취임 첫 달 부산 모든 바다를 직접 돌며 해역별 특징을 공부한 것도 이런 생각에서 비롯됐다.
김 서장은 “해경 역할은 사고 예방과 더불어 실제 사고가 났을 때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라며 “해역 특징을 분석해 만든 맞춤형 대책이 이를 가능하게 한다”고 말했다.
그의 철학은 부산해경 직원들에게도 적용됐다. 지형지물 숙달 훈련이 강화됐다.
지형지물 숙달 훈련은 흰 종이에 방파제, 항구 등 시설물, 해역별 수심 등 부산해경이 관할하는 바다의 모든 특징을 그리는 훈련이다.
특히 현장에서 사건·사고를 대응하는 일선 해경 직원에게는 중요한 역량이다.
그는 과거 합격 여부만 따졌던 업무 능력 평가 체계를 더욱 세분화했다. 지형지물 숙달 훈련 결과를 두고 하위 30%를 만들어 분발을 독려하는 것도 게을리하지 않는다.
평가 체계가 가혹하더라도 해경 직무 능력이 곧 국민 생명과 직결된다는 김 서장의 생각이 담긴 결과다.
김 서장은 “‘안전하고 깨끗한 바다’는 제 신념”이라며 “부산해경 모두가 맡은 분야에서 전문가 수준으로 올라오길 바란다”고 당부했다.